728x90
반응형

혼자 하는 입주 전 하자 검사/세대공통 10

세대 공통 하자 (⑯ 석고- 벽, 천장)

벽, 천장 석고 ● 파손- 주로 창호틀 주변을 비롯한 설비(전기, 소방) 시공 부위에서 파손이 자주 발견됩니다. ※ 전기설비: 콘센트, 컨트롤러, 조명, 에어컨 등. ※ 소방설비: 스프링클러, 연기감지기, 온도감지기, 동작감지기 등. - 그 외 : 와이파이, 스피커, 전열교환기 흡배기 주변 등. ● 단차- 자주 발견되는 장소로는 현관 천장입니다. 복층의 경우 계단실 천장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그 외 각 방 벽면과 특히 창호 틀 하부에서 정말 자주 발견되는 하자이니 유의하여 확인합니다. 이를 확인하는 제일 좋은 방법은 벽을 손으로 쓸면서 직접 만져보며 다니는 것입니다. 육안으로 볼 경우 벽면에 그늘이 진 것과 같은 현상을 보입니다. 안방 분합창 측벽(경량벽) 석고벽 고정불량 사례 ● 석고 벽 고정불량- ..

세대 공통 하자 (⑮ 벽- 도장)

외벽 도장 외벽도장은 돌출, 곰보, 크랙, 파손부위가 다수 분포합니다. 외벽면의 경우 공용부 하자로서 다뤄지며, 추후 관리사무소와 입주자대표회의에서 논의 후 해당 하자들을 취합하여 시공사에 제출, 확인, 보수가 이루어지게 됩니다. 사전검사는 전용부에 한하여 이루어지지만 외벽체 크랙의 경우 내벽과 이어져 누수의 우려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발견 시 반드시 하자로 등록하길 바랍니다. 내벽 도장 세대 내 도장(페인트)이 들어가는 공간은 안방발코니, 대피공간, 실외기실, 주방발코니가 되겠습니다. 해당 공간을 관찰하면 외벽면과 같이 많은 곰보자국을 비롯한 돌출, 파손면, 크랙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사전 점검 기간동안에는 현장상황에 따라 다르나 대부분 공정률이 좋지 않아, 마감이 불량합니다.

세대 공통 하자 (⑫ 창호-틀, 주변 석고 벽)

창호틀 고정, 창호틀 주변 석고벽 고정 손으로 창호틀 주변 벽을 눌러보시면 힘없이 푹! 들어가며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당연히 그 내부가 비어있기에 발생되는 하자입니다. 이를 메꿔 주기 위해서 들어가는 자재가 바로 우레탄폼입니다. 창호 벽 내부에는 내벽 단열재와 창호틀 사이의 틈이 있습니다. 이곳을 우레탄폼으로 매워 주지 않으면 창호 개폐 시 창호틀의 과도한 떨림과 소음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창호틀 주변 석고벽이 요동치기 때문에 파손 가능성도 올라갑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비어있는 이 틈을 통해 외풍이 들기도 하며, 불량한 단열성은 가정 내 열에너지 손실을 발생시킵니다. 창호를 열고 창호틀 외부의 실란트.마감이 잘되어 있는지 보아야합니다. 해당 부분을 누락할 경우도 하자입니다. ※ C..

세대 공통 하자 (⑪ 창호-창짝)

창짝 창짝 개폐 시 소음은 발생하진 않는지, 여성과 아이들이 열고, 닫음에 무겁진 않은지 확인합니다. 만약 소음이 발생하고, 무거움이 느껴진다면, 창짝에 달려있는 '호차'라는 바퀴의 불량일 수 있습니다. 사전점검 기간 동안의 모든 창짝은 수직과 수평이 불량합니다. 그저 자기 위치에 놓여 있을 뿐 바르게 서 있진 않습니다. 따라서 전체 창짝에 대해 하자를 기본적으로 표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수직수평을 확인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창짝과 창틀을 일정간격 떨어트려 놓고 보시면 됩니다. 또는 창틀에 끼워져 있는 커다란 플라스틱 스토퍼까지 창짝을 밀고 위아래 스토퍼 모두에 창짝이 밀착되어 있는지 확인해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수직수평 조정작업(조시작업)은 세대 내 모든 창짝에 전체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므로 모든 창..

세대 공통 하자 (⑩ 물을 쓰는 곳 바닥 타일)

공용욕실, 부부욕실, 안방발코니, 주방발코니 구배(배수) 바닥타일 줄눈의 간격이 제 각각(어딘 가늘고, 어딘 굵고)이고 단차가 있다면 반드시 물고임이 발생합니다. 물고임이 있다는 것은 즉 구배. 물 내림에 장애가 있다는 것입니다. 간혹 단차가 그 정도를 넘어서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리고 바닥 타일의 깨짐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주로 하수 육가(배수구) 근처, 목문 하부틀(물 넘김 방지턱- 마블씰) 근처에서 자주 발견되니 유심히 살펴보기 바랍니다. ※ Check point ※ ① 구배(배수) 불량은 타일의 줄눈 시공상태로 한눈에 확인이 가능! ② 타일의 단차(돌출, 함몰)가 발생하면 물고임 발생! ③ 바닥 타일의 파손은 반드시 발견해야 합니다! ④ 바닥을 두드려보세요! 깨지는 듯한 소리가 나면 하자!

세대 공통 하자 (⑨ 문- 문 틀)

목문틀(방문틀) 문틀은 사람의 몸으로 치면, 뼈대인 가틀과, 피부인 본틀, 문선, 문상(인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우리는 문틀의 이 피부에 해당하는 부위에 상처가 있는지 찾아내야 합니다. 좌우에 있는 긴 문틀인 문선과 머리 위에 있는 문틀인 문상의 고정여부를 확인합니다. 손으로 잡고 비틀어보면 때로는 힘없이 떨어지는 경우도 있고 춤을 추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경우 하자입니다. 그리고 현장에서 문틀의 찍힘과 스크래치, 필름지 탈락과 같은 하자는 기본이며, 다수 분포하고 있으니 이를 잘 인지하고 상처가 있는 부위는 스티커를 아끼지 말고 붙여야 합니다.※ Check point ※ ① 검사자를 기준으로 머리위에 있는 문틀인 문상(인방), 좌우에 있는 문틀인 문선을 잡고 흔들어보자. 움직이면 하자!(고정불량..

세대 공통 하자 (⑧ 문 - 목 문 )

목문(방문) 먼저 현관문에서 했던 것과 같이 문의 개폐를 반복하며 문틀, 바닥과의 간섭은 없는지 확인합니다. 간혹 오시공으로 수평과다 불량으로 문이 쳐져 있는 경우 위와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문이 자연스럽게 잘 닫히는지, 잠김은 원활히 되는지, 잠겼을 경우 손잡이를 잡고 흔들어 봤을 때 흔들림은 없는지 확인합니다. 만약 흔들릴 경우 유격이 발생하는 것이며, 이는 하자입니다. 그리고 문의 앞뒷면과 엣지면, 위아래, 파손면은 없는지, 필름지 시공불량으로 필름이 들뜨진 않았는지 확인합니다. ※ Check point ※ ① 방 문의 개폐기능에 문제(문틀과의 간섭, 방바닥과의 충돌)가 없는지 확인한다. ② 손잡이 시공상태(고정, 수평)를 확인한다. ③ 문과 문틀과 잘 맞물려 유격이 없는지 확인..

세대 공통 하자 (⑭ 벽, 천장- 설비)

벽-컨트롤러, 콘센트, 전기 사전점검 기간 동안에는 전기설비 작동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누전 또는 합선유무를 확인하여 때로는 현장에서 바로 조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벽에 설치된 모든 컨트롤러의 작동상태와 각 작동법에 알맞게 스위치가 배치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점검 중에 화장실 조명을 켰는데 환기구가 켜지는 황당한 경험도 참 많이 했었습니다. 스위치와 콘센트의 수직수평 상태도 미관상 중요하지만 고정상태와 파손여부를 확인하는 것 그리고 전기전원 불량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주방 콘센트는 특히 고정이 안되어 있으니 잘 확인하세요!) 천장- 스프링클러, 온도감지기, 조명 천장에는 많은 설비가 위치해 있습니다. 먼저 스프링클러입니다. 현장에서 자..

세대 공통 하자 (⑬ 벽, 천장- 도배)

도배 도배의 하자는 도배지와 도배지 사이 틈이 노출되는 이음부 이격, 또는 이음부 들뜸, 도배지 자체가 들뜨는 들뜸, 내부에 돌가루나 톱밥이 들어가 발생하는 돌출, 파손, 오염, 태움 불량, 자재색이 다른 이색이 있습니다. 이는 천장과 벽 모두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발생하는 하자입니다. 그리고 초보자가 실수하는 것이 실크 벽지의 봉투바름 띄움 시공을 도배의 들뜸 하자로 인식하는 것입니다. 이는 하자가 아닙니다. 거의 대부분의 현장에서 실크벽지를 사용하고 있으며, 일반 합지(종이)와 달리 실크벽지는 모서리면만 봉투 풀바름을 초배지를 거친 미장벽에 먼저 올린 다음 전체 풀바름을 한한 실크벽지를 그 초배지 위에 올려 미장벽에 노출된 수많은 돌출면을 가리는 공법으로 시공됩니다. ※ Check point ※ ① 도..

세대 공통 하자 (⑦ 바닥- 난방)

난방 난방은 하계기간에는 가동하지 않습니다. 동계기간에 가동하여 난방의 가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난방배관 열화상 촬영의 주목적은 난방배관 누수탐지 및 기능확인이며, 누수사고 발생 시 이는 열화상 촬영이 아니어도 육안으로 바닥의 물 번짐 흔적으로 이를 인지할 수 있으며, 추후 정밀 탐지는 열화상으로 진행하여 찾게 됩니다. 또한 사전점검 기간 동안 현장에서 바닥 난방코일 터짐에 의한 누수사례는 극히 드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