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아파트입주전하자검사 4

현관(④ 바닥-타일)

현관 바닥(타일) 타일의 들뜸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북채나 막대기로 타일을 톡톡 두드려 보면 들뜬 타일의 경우 내부 매지가 채워져 있는 것과 달리 깨지는 듯한 시끄러운 소리가 들립니다. 이를 무시하고 그대로 사용하면 중량물이 올라갈 시 쉽게 크랙이 가거나 파손이 될 우려가 있으므로 하자처리를 해야 합니다. 두 번째로, 줄눈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해야 합니다. 많은 현장을 다녔지만, 많은 시공사들의 줄눈 시공처리는 그다지 양호하지 않은 편에 속합니다. 그래서 외주업체에 맡겨 줄눈시공을 많이 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세 번째로, 타일의 단차를 확인해야 합니다. 단차가 심할 시 걸림에 의한 타일 모서리 파손과 부상 위험이 있으므로, 이는 다시 들어내어 조정해야 하는 하자입니다. ※ Check point ※..

현관(③ 문 틀)

현관 문 틀 문틀 도장 면의 면 처리 즉, 철부 도장이 얼마나 정갈하게 되어있는지 먼저 확인합니다. 만약 붓 자국과 스크래치, 돌출이 많다면 하자입니다. 더불어 현장에서 제일 잘 파손되는 부위 중 하나인 하부틀의 파손 여부를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자세히 보면, 움푹 눌린 눌림 자국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문틀과 벽간에는 반드시 실리콘이 깨끗하게 발려있어야 합니다. 만약 실리콘이 중간에 파손이 되었으면 하자. 끊겨있어도 하자. 누락되어 있어도 당연히 하자입니다. ※ Check point ※ ① 문틀 도장면이 깨끗한지 확인. ② 문틀 하부틀이 파손되어 있는지 확인. ③ 문틀 실리콘 시공이 양호한 지 확인.

현관(② 문)

현관문 현관문은 건축법 시행령에 따라 '갑'종 방화문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화재 시 화재확산 방지를 위해 방열, 방연, 방화 기능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시공되어야 합니다. 이는 대피공간의 문도 동일합니다. 사전점검 기간 동안에 문에는 반드시 보양 랩핑과 보양 골판지가 보양되어 있어야 합니다. 만약 제거 되었다면 이는 하자입니다. 추후 하자처리를 위해 인력과 자재가 반드시 드나들 것이며, 그 과정에서 현관문은 반드시 대미지를 입기 때문입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합니다. 먼저 스크레치를 포함한 찌그러짐이 없는지 육안으로 확인합니다. 문을 여닫아 보면서 개폐 시 속도와 닫힘은 적당한지 확인합니다. 만약 속도가 과하고 닫힘이 덜 하다면,, 도어클로저 장력 조절이 필요한 하자입니다. 그리고 문..

현관(① 입구 외벽, 그 외 부자재)

입구 외벽 현관문을 기준으로 외벽 기초 미장의 파손 정도를 파악해야 합니다. 외적으로 미관상 좋지 않을뿐더러 그 위로 올려지는 무늬코트(도장 페인트) 도포의 불량 우려가 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기초 미장 파손이 심할 시 문틀 실리콘(코킹) 도포 또한 들뜸, 파손 등 다양한 형태의 하자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간혹 저층부의 경우 내관 파열에 의한 누수 흔적이 현관 초입 외벽에서 발견되는 경우도 있으니 공용부 벽과 바닥의 물 번짐 흔적, 백화현상의 흔적이 있는지 유심히 살펴보아야 합니다. 그 외 부자재 -인터폰 고정이 잘되어 있는지 확인함과 동시에 인터폰 뒷면 벽 타공부가 과도하게 파손은 되어있진 않은지 확인합니다. 인터폰 고정불량은 기계오류 및 고장으로 이어지는 하자 중 하나입니다. -도어..

728x90
반응형